[메일서버 설정하기 5부] 네임서버 설정하기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eiminem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48 조회
본문
사실 메일서버자체는 정말 간단하게 구축이 가능한데 그에 수반되는 네임서버 설정이 많아서
골치를 썩으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메일서버 연결에 필요한 네임서버레코드는 크게 2개 뿐(!?!?!?!?!?!)이며 나머지는
보안설정에 관련된 txt레코드가 전부입니다. 참 쉽죠?
아 웹에서 메일서비스를 사용하실려면 웹메일에도 도메인을 붙여야하니 CNAME정도는 사용하겠네요
앞서서 메일서버 설정에 필요한 보안설정을 여기서 설명하면서 넘어가려고합니다.
메일서버 운용에 보안설정은 DKIM, DMARC, SPF가 있습니다.
자 그럼 DNS서버 앱을 열어볼까요?
저는 시놀로지의 모든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쪽에 가깝기때문에 모든 설명은 어지간하면 순정앱을 기준으로 설명하려고합니다. (... 뭐 리눅스쪽은 자료가 워낙 방대하니 굳이 제가 글을 안써도..)
도메인 리소스 레코드 편집에 들어가 생성을 눌러주고 레코드를 추가한다
이게 이번 글의 핵심입니다.
우선 메일서버에 해당하는 MX레코드를 작성해 주어야 합니다.
MX레코드는 내 도메인으로 SMTP연결이 들어왔을때, 메일서버로 이 연결을 어떻게 라우팅할지 결정짓는 레코드입니다.
위와같이 현재 제가 사용하고 있는 레코드들이 쭉 나열되어있습니다.
생성을 눌러 MX유형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레코드정보를 입력해주시면됩니다.
위와같이 입력하시면 되는데 이름 부분의 mx1.은 앞서 설명드린
메일서버에서 설정한 FQDN을 적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제 SMTP는 mx1.keiminem.kr에서 처리한다 라는 의미가 되며
우선순위는 선호에 따라 적어주시면 됩니다.
호스트/도메인 은 상위 도메인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장해줍니다.
MX레코드를 작성했지만 여전히 도메인서버는 mx레코드가 연결되는 IP주소를 모릅니다.
MX레코드에대한 IP를 연결해줍시다.
생성에서 A유형을 선택하고 역시 값을 입력해 줍니다.
mx1.keiminem.kr의 IP주소를 매핑하는 작업입니다.
서버에서 MX레코드를 가지고있지만 IP주소를 모르면 SMTP를 라우팅할수가 없으니 IP를 알려주는 작업입니다.
입력후 저장을 눌러줍니다.
여기까지만 해주셔도 메일서버는 이미 메일을 송수신할 준비가 다 끝났습니다.
하지만 이상태에서 메일을 보내면 차단이되거나 스팸처리가 되거나 반송이되거나 하여
이게 정말 제대로 된 메일서버냐????? 라고 생각하실수 있습니다.
6부에서는 메일서버의 보안설정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등록일 2023.03.31
-
등록일 2023.03.31
-
등록일 2023.03.31
-
등록일 2023.03.31
관련자료
-
이전
-
다음